Grab bag

“13년 영어 배운 韓학생, 원서의 30%만 이해”

자소월 2012. 11. 27. 19:50

 

“한국의 영어 교육은 너무 시험 중심입니다. 그래서 문법이나 단어 실력은 완벽한데도 외국인 앞에서 말문이 막히는 겁니다. 편하게 말하면 되는데 그걸 시험으로 생각하니까. 시험처럼 자기 말에 한 치의 오류도 있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니 틀린 표현의 공포에 압도돼 버리는 거죠.”

▲ 맬버트 스미스 박사

영어 독서능력 평가지수인 ‘렉사일지수’ 개발자로 세계적인 명성을 갖고 있는 언어학자 맬버트 스미스(59) 박사.

 

28일 서울 삼성동의 한 커피숍에서 그를 만났다. 스미스 박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겸임교수이자 교육 평가기관인 메타메트릭스 공동 설립자다.

효과적인 영어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렉사일지수는 미국 50개 주 가운데 23개 주의 공립학교에서 활용하고 있다. 토플(TOEFL) 시험 성적표에도 응시자별 렉사일지수가 기재된다. 그는 한국의 영어 교육에 대해 “중요한 것은 시험 점수가 아니라 학생들의 능력을 정확히 파악해 알맞은 영어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라면서 “줄 세우기식 교육이 영어를 하나의 언어가 아닌 평가의 대상으로 느끼게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 한 언어연구소와 공동 프로젝트를 벌이고 있다.

“10세부터 49세까지 한국인 3529명의 영어 독해지수를 산출하는 작업입니다. 아직 연구가 마무리되지는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영어를 공부한 시간에 비해 독서능력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는 “영어를 13년간 배운 특정 학생 집단을 분석한 결과 원서로 된 대학 교재의 이해도가 30%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이는 예상보다 너무 낮은 것으로 한국 학생들이 그만큼 영어로 된 책을 읽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 준다.”고 말했다.

“영어 독해력은 단순히 영어 단어를 많이 안다고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책 읽기는 언어가 모국어든 제2외국어든 상관없이 배경지식을 활용해 문맥상의 의미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이기 때문이지요.”

스미스 박사는 “당장 시험 점수에 연연해 문제를 잘 풀 수 있는 속성 영어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 능력치에 맞는 도서를 활용해 차근차근 흥미를 갖도록 하는 게 영어실력을 훨씬 풍부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라고 했다. 그는 “외국어를 잘할 수 있는 오직 한 가지 방법은 많은 연습과 정확한 연습을 하는 것”이라면서 기초와 정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환경에서도 독서는 기본 중 기본입니다. 독서를 주춧돌로 삼고 그 위에 말하기, 듣기, 쓰기 등 세 가지를 얹는 것이 영어 실력을 향상시키는 최고의 방법이라는 게 제 오랜 연구의 결론입니다.”

명희진기자 mhj46@seoul.co.kr

출처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21029027037